개발 15

webrtc 서버 구축 3편 -시그널링 서버 분산처리(세션정보 관리)

이어지는 시리즈이기 때문에 https://kid-dev.tistory.com/4 [언택트 기술 시리즈]webrtc 서버 구축 1편 -기초 아자르, 스무디, 행아웃 언택트 시대하면 위 서비스들을 한번쯤은 들어보거나 사용해봤을 것이다. 맞다. 위 서비스들은 webrtc로 만들어진 서비스 들이다. 'webrtc = 영상통화,화상회의'라고 말할수 kid-dev.tistory.com https://kid-dev.tistory.com/5 [언택트 기술 시리즈]webrtc 서버 구축 2편 -시그널링 서버를 구축 하자. 드디어 webrtc 서버 구축 2탄~~ 시그널링 서버를 구축하자!! webrtc 시그널링 서버가 무엇인지 모르겠다면 시리즈 전편을 확인하자. https://kid-dev.tistory.com/4 [언택..

개발/영상통화 2021.10.22

[언택트 기술 시리즈]webrtc 서버 구축 2편 -시그널링 서버를 구축 하자.

드디어 webrtc 서버 구축 2탄~~ 시그널링 서버를 구축하자!! webrtc 시그널링 서버가 무엇인지 모르겠다면 시리즈 전편을 확인하자. https://kid-dev.tistory.com/4 [언택트 기술 시리즈]webrtc 서버 구축 1편 -기초 아자르, 스무디, 행아웃 언택트 시대하면 위 서비스들을 한번쯤은 들어보거나 사용해봤을 것이다. 맞다. 위 서비스들은 webrtc로 만들어진 서비스 들이다. 'webrtc = 영상통화,화상회의'라고 말할수 kid-dev.tistory.com 필자는 webrtc 시그널링 서버는 만남의 약속을 위한 서버라고 말한바 있다. 컴퓨터는 약속이란 무엇인가? 바로 프로토콜 아닌가? 프로토콜, protocol 명사 복수의 컴퓨터 사이나 중앙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개발/영상통화 2021.09.30

[언택트 기술 시리즈]webrtc 서버 구축 1편 -기초

아자르, 스무디, 행아웃 언택트 시대하면 위 서비스들을 한번쯤은 들어보거나 사용해봤을 것이다. 맞다. 위 서비스들은 webrtc로 만들어진 서비스 들이다. 'webrtc = 영상통화,화상회의'라고 말할수는 없지만 영상통화 또는 화상회의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선 꼭 알아야 하는 기술이 바로 webrtc이다. (zoom은 webrtc가 아니라 자체기술이라고 한다. 갓 zoom....) WebRTC (Web Real-Time Communication)는 웹 브라우저 간에 플러그인의 도움 없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API이다. W3C 에서 제시된 초안이며, 음성 통화, 영상 통화, P2P 파일 공유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위키 백과사전- 필자는 영상통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 해당 기술을 공부했다. ..

개발/영상통화 2021.09.03

Serverless Computing는 언제 써야 할까?

서버 개발자라면은 한번쯤은 들어.. 아니 한번쯤은 써봤을 것이다. serverless computing 만약 들어본적이 없다면 google cloud functions, aws lamda는 들어봤을 것이다. 대표적인 serverless computing service이다. 오늘 필자는 serverless computing service를 언제 써야만 하는지 장점이 무엇인지 또는 단점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생각을 풀어보고자 한다. serverless computing의 장점은 무엇일까? 생산성 인프라 없이 사용할수 있다는 아주 큰 장점이 있다. 초기 빠른개발과 코드에만 집중할수 있는 환경인 것이다. 배포 환경도 자동화가 잘되어 있으며, 코드를 쓰고 명령어 몇줄만 치면 자동으로 무중단 배포를 지원한다. 뿐만 ..

개발/서버 2021.08.11

린스타트업의 정석

얼마전 자비스 대표님 소중한 말씀을 들을일이 있었다. 삼쩜삼 서비스를 만들때 초기 모델은 20%만 개발을 하고 나머지 80%는 수동으로 처리했다는것이다. 그리고 어느정도 트래픽이 들어올것이라는 가설이 검증되었을때 80%의 자동화 개발을 했다는 것이다. 20%라니... 나는 나름 사업적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개발자라고 자부했지만 그 생각은 산산이 부서졌다. 나는 아직 뼛속까지 개발자였던것이다. 적어도 80%는 아니 70%는 되야 초기 제품이라고 할수 있는것 아닐까? 라는 생각을 나도 모르게 가지고 있었다. 가설과 검증 스타트업에서 일해 보았다면, 스타트업을 꿈꾸고 있다면 한번쯤 경험하거나 들어보았을 것이다. 스타트업은 항상 가설과 검증을 반복한다. (다른 사업군에서는 이런 말이 많이 없는데 아마 공대생들이..